사람이 최고의 기량을 발휘할때가 20대와 30대사이라고 말할수 있다
조선시대에 장헌급제자들 보면 거의가 다 2.30대 젊은이들이고 30대만 넘어서면
장헌급제는 거의 불가능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선수들도 2.30대에 최고의 기량을 발휘하고 깨달으신분이나 높은경지에 가신분들 보면
대개가 2.30대에 절정을 이루고 깨달음을 얻었다는 것이다
30대넘어서 40살이후 깨달음을 얻었다는 분은 아마 많아야 10중한둘이나 될까 하는것이
나의 의문이다
대기만성이라는 말도 있지만 이는 어렸을때부터 노력해온 사람을 일컬어 온 사람이고
어렸을때 수련제대로 안하고 늙어서 열심히 한다고 이루어지는게 아니다
그만큼 모든것은 젊었을때 부터 열심히 해도 30대 넘으면 성공하기 힘들거늘
더군다나 젊어서 수련안한 분들이 30대 넘어서 시작하여 성공한다는것은
초인적인 노력이 아니면 거의 불가능하지 않나 생각이 든다
나도 20대에는 앉아서 수련하는것이 아무리 힘들어도 다음날 자고 일어나면 거뜬했다
그래서 20대에는 바닥에 아무것도 안깔고 그냥 앉아서 수련해도 보통 40분이요 길면
한시간 앉아서 수련하기도 했는데 40대인 지금은 방석을 깔고 앉아도 30분 앉아서 수련하기
힘들다 이게 나의 가장 큰 장애이다
이정도면 괜잖겠지 하고 30분 40분 앉아서 수련하면 그당시는 괜잖은데 오히려 자고 일어나면
엉덩이가 아프고 그래서 요즘은 방석을 깔고 앉아도 30분을 넘기기가 힘들다
수련할 당시는 괜잖아도 오히려 자고 일어나면 엉덩이가 더 아프니 그래서 어제도 하루 수련을 쉬었다
20대에는 아무리 힘들게 앉아도 자고 일어나면 거뜬해서 한시간 이상도 수련이 가능하나
40대인 지금은 이정도면 괜잖겠지 해도 자고 일어나면 반대로 엉덩이가 아파서 30분도 앉지 못하는
상황이 오늘날 나의 상황이다
그런데 한참 수련하기 좋을때인 2.30대에 사기단체에 잘못 가입해서 허송세월한거 생각하면
역시 수련도 인연이 있어야 가능한가 보다 하기야 거기가 사기단체라기 보다는 단전호흡 수련하는 도장이
거의가 다 그런수준에 머물든다고 봐야 한다
그러니 수련을 시작할때 특히 젊어서 시작할때는 제대로 가르치는 단체를 만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허송세월할 뿐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20대의 나와 40대인 지금 나의 차이는 20대는 아무리 힘들게 일하고 운동해도 자고 일어나면
다 풀리는데 40대인 지금은 조금만 힘들게 운동하거나 일해도 할때는 거뜬한데
자고 일어나면 욱신욱신 내가 몸이 너무 약해서 이런 현상이 빨리 찾아오는지는 몰라도
아무튼 공부던 일이던 수련이던 늙어서 시작한다는것은 젊었을때 쫓아갈려면 몇배의 노력과
초인적인 인내심이 필요하지 않나 싶다
수련이건 공부건 운동이던 뭐든지 하려면 젊어서 시작해야지 늙어서 시작하는것은 성공하기는
힘들고 그냥 취미나 건강에 도움이 될정도 밖에 되지 않지 않나 싶다
내 경험으로는 수련의 효과가 있으려면 최소한 40분씩 수련하고 하루에 2번은 해야 효과가 있다
그 이하로 수련해도 효과가 없지 않지만 그 효과는 미미하다고 말하고 싶다
그러나 지금은 체력이 받쳐주지 못해서 30분수련하기도 힘들다 열심히 수련하려고 해도
체력이 받쳐주지 못해서 못하는것이 나의 실정이다
수련은 역시 앉아서 수련하는게 효과가 좋고 누워서 하려고 하니 집중이 잘 안된다
그리고 행동동작이다 해서 5분마다 동작을 바꾸어 가면서 하는것은 그냥 체력단련이 좀 될까
내가 다른 단체에서 해본 경험에 의하면 효과가 거의 없다고 말하고 싶다
동작을 바꾸어 가면서 여러가지 자세를 취하는 것은 수련을 위한것이라기 보다는 남에게 보이고
선전하기 위한 자세가 아닌가 여겨진다
지금은 20분에서 30분사이로 앉아서 수련하고 하루에 두번수련한다 이것도 체력이 뒷받침 해주지 않아서
하루에 3번하려고 해도 못하는 실정이다
그러고 보니 불교에서도 40이 넘으면 스님으로 받아주지 않는다고 한다 왜 그런지 내가 44살이 되고보니
그 이치를 이제야 알겠다
모든것은 젊어서 시작해야지 늙으면 그만큼 힘든다는 뜻일 것이다